2023.10.25 일간 종목
bulkupload everyting
bulkuplo-ad 자세히보기

주식/일간 종목

2023.10.25 일간 종목

bulkuploader 2023. 10. 26. 01:13
728x90

2023.10.25 일간 종목

* 리포트 발행 수: KB금융 > POSCO홀딩스 > 포스코퓨처엠 > JB금융지주 > 포스코인터내셔널

* 리포트 조회 수: POSCO홀딩스 > 포스코퓨처엠 > 포스코인터내셔널 > KB금융 > HD현대일렉트릭

 

KB금융

높은 수익성을 담보할 수 있는 매우 안정적인 자산건전성 (하나증권)
목표가 68,000 | 투자의견 Buy
3분기 실적은 예상치 정확히 부합. 충당금 감소로 은행 분기 순익은 1조원에 육박
KB금융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68,000원을 유지. KB금융의 3분기 순익은 전년동 기대비 8.1% 증가한 1.37조원을 시현해 우리예상치에 정확히 부합. 1) 대출성장률이 1.8% 로 양호했던데다 NIM이 상승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1bp 하락했지만 그룹 순이자이익 이 전분기대비 3.9%나 증가했고, 2) 금리 상승으로 유가증권 관련익이 다소 축소됐음에도 불구하고 그 폭은 우려보다는 크지 않았으며, 3) 그룹 대손비용이 4,500억원으로 전분기대 비 크게 낮아졌기 때문(은행 1,500억원, 카드 2,040억원, 캐피탈 520억원, 증권과 저축은행 각각 170억원). 특히 국민은행의 3분기 순익이 충당금 감소에 힘입어 역대 최대치인 9,970 억원을 시현하면서 1조원에 육박한 점이 인상적이었음. 다만 3분기에도 비지배주주지분손실 이 발생했는데 이는 부코핀은행 때문으로 추정됨. 그 외 비경상 요인으로는 실손보험 손해 율 계리적 가정 변경에 따른 손실이 약 715억원 가량 발생. 4분기에는 LGD 상향에 따른 추 가 충당금 부담이 발생하겠지만 올해 연간 순익은 5조원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고, 업계 최상위의 자본비율이 지속되면서 한동안 리딩뱅크의 위상이 유감없이 드러날 것으로 전망
쉽지 않은 환경에서 잘 버텨주고 있음 (대신증권)
목표가 70,000 | 투자의견 Buy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70,000원, 업종 내 최선호주 유지
2022년 1분기부터 순조롭게 상승하던 NIM이 조달금리 상승에 따라 당 분기 하락 전환, 내년까지 분기 1bp 내외로 하락할 것으로 사측은 전망. 상반기까지 거의 답보상태였던 원화대출이 대기업대출 위주로 3분기 원활한 성장을 기록. 이자이익/비이자이익 모두 견조한 수준을 잘 유지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13%를 상회하는 CET1비율로 자사주매입/소각을 꾸준히 진행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존재. 전반적인 은행의 영업환경이 쉽지 않은 가운데 훌륭한 자본비율과 우수한 펀더멘탈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음. 상반기까지 공격적으로 쌓은 대손비용덕에 4분기에는 경쟁사와는 달리 부담은 크게 없을 전망. 업종 내 최선호주 유지
자사주 매입 지속 주당 지표의 우위 전망 (한화투자증권)
목표가 72,000 | 투자의견 Buy
3Q23 지배 순익 1조 3,738억원(+0.4% YoY), 예상치 상회
KB금융의 3Q23 지배주주 순익은 1조 3,738억원(+0.4% YoY)으로 시 장 컨센서스와 당사 추정치에 부합하는 무난한 실적을 기록. 다만 LGD값 조정을 통한 추가 충당금 500억원을 가정했으나 이는 당분기 에 반영되지 않았고, 4분기에 일괄 인식할 것으로 예상됨 NIM은 지주 및 은행 모두 -1bp QoQ로 3년 만에 반락했으나 타행 대비 양호한 마진 방어를 나타냄. 조달비용률 상승폭(+8bp QoQ)이 유 지된 반면 이자수익률 상승폭(+7bp QoQ)은 줄어들었는데, 주택대출 과 대기업대출 중심으로 성장하는 현 기조 하에서는 완만한 마진 하락 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 은행 원화대출은 기업대출을 중심으로 1.9%

 

POSCO홀딩스

예상했던 수준만큼의 3분기 영업실적 기록 (하나증권)
목표가 740,000 | 투자의견 Buy
3분기 철강 밀마진 축소되었지만 영업이익은 시장컨센서스 부합
기존에 잠정실적 공시를 통해 발표한대로 2023년 3분기 POSCO홀딩스의 매출액과 영업 이익은 각각 19.0조원(YoY -10.4%, QoQ -5.5%)과 1.2조원(YoY +33.3%, QoQ -7.7%)을 기록하면서 영업이익은 시장컨센서스인 1.2조원에 부합했다. 1) 계절적 비수기와 일부 하공정 라인 수리 영향으로 포스코의 철강 판매량은 소폭 감소 (830만톤: YoY +5.0%, QoQ -0.6%)했다. 2) 철광석을 비롯한 원재료 가격 하락으로 고로 원재료 투입단가는 전분기대비 3.6만원/톤 하락한 반면, 3) 내수 부진과 중국 수입산 가격 하락으로 탄소강 ASP가 전분기대비 5.3만원/톤 하락하면서 스프레드가 축소되었다. 다만 고 부가제품 판매 확대로 실질적인 ASP 하락은 4.8만원/톤을 기록했다. 4) 중국 장가항을 제외 한 해외 철강 자회사들뿐만 아니라 기타 국내 주력 자회사들도 대부분 전분기대비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POSCO홀딩스 영업이익 감소 원인으로 작용했다.
기대와 현실 사이에서 (대신증권)
목표가 570,000 | 투자의견 Buy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570,000원 하향
목표주가를 570,000원으로 하향(기존 640,000원, -11%). 목표주가는 SOTP 방식으로 산출. 영업 및 지분가치 54.9조원(철강 26.1조원, 친환경인프라 7.1조원, 친환 경소재 21.7조원)과 연말 추정 순차입금 6.9조원을 감안한 NAV를 48.0조원으로 산정. 시황 부진에 따른 철강 기대이익 하락 및 Peer 밸류에이션 하향 조정 반영
신사업 가치 견고하다 (이베스트증권)
목표가 730,000 | 투자의견 Buy
3Q23 Review: 컨센서스 부합
3Q23 실적은 연결기준 매출액 19.0 조원(-10.4%YoY, -5.8%QoQ), 영업이익 1.2조원(-30.1%YoY, -9.82%QoQ, OPM 6.3%)으로 영업이익 컨센서스에 부합했다. 1) 철강: 포스코는 영업이익 7,270 원(83.2%YoY, -13.6QoQ)을 기록했다. 여름 비수기, 9 월 열연 및 후판 대수리로 판매량이 전분기 대비 감소했다(-0.6% QoQ). ASP 하락 폭(-4.8 만원, -4.5%QoQ)이 투입원가 하락 폭보다 커서 롤마진은 소폭 악화하였다(-1.5 만원, -2.9% 추정). 중국을 제외한 해외법인들은 수요부진으로 모두 수익성이 악화하였다. 2) 친환경인프라 및 친환경미래소재: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이익 감소 역시 주로 트레이딩 부문에서 발생했는데, 철강 가격 하락과 판매량 감소 때문이다.

 

포스코퓨처엠

3Q23 Review 컨센서스 하회 (교보증권)
목표가 460,000 | 투자의견 Buy
3Q23 Review 컨센서스 하회
포스코퓨처엠의 3Q23 연결기준 매출액 1조 2,857억원(YoY +22.1%, QoQ+7.8%), 영업이익 371억원(YoY -54.6%, QoQ -28.8%) 발표하며 당사 추정치 매출액 1조 3041억원, 영업이익 356억원에 부합. 컨센서스 매출액 1조4,508억원, 영업이익 669억원에 하회. 컨센서스 하회의 주요한 이유는 전반적인 업황 부진과 메탈가격 하락에 따른 판가하락 및 원재료 래깅에 따른 비용상승효과 반영. N86판매비중이 전분기 31%대비 42%로 확대되었으나 생산 초기 수율 향상과정에서 당초 계획대비 약 70% 수준의 출하에 머물렀을 것으로 판단.
기대치 낮출 필요 (대신증권)
목표가 400,000 | 투자의견 Buy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40만원으로 하향(-7%)
목표주가는 25년 예상 EPS(6,827원)에 타겟 PER 59.2배(25~27년 EPS증가율 적용한 PEG 1배기준) 적용하여 산출. 최근 메탈 가격 하락에 따른 중장기 추정 양극재 ASP 하향 및 실적 변경에 따라 목표주가 조정 4분기까지 이어질 단기 실적 부진이 아쉬우나, 중장기 공급계약으로 바인딩된 물량 비중이 높은 24년부터 안정적인 실적 성장 가능할 것으로 예상(누적수주합산 얼티엄셀향 35조, SDI향 40조, LGES향 30조). 최근 EV 수요 둔화와 함께 양극재 업종 내 공급과잉 우려 대두되고 있으나, 대규모 수주 기 확보로 경쟁사 대비 상대적으로 차별화된 실적 가시성 보유. 최근 주가 조정으로 밸류에이션 부담 또한 완화되었으며, 매수 접근 필요
신제품 생산 과정 초기 비용 증가 (하나증권)
목표가 650,000 | 투자의견 Buy
3Q23 Review : 양/음극재 신제품 생산 초기 비용 증가
포스코퓨처엠 3Q23 연결 실적은 매출 1.3조원(YoY +22%, QoQ +8%), 영업이익 371억원 (YoY -55%, QoQ -29%), 지배주주순이익 223억원(YoY -65%, QoQ -48%)으로 컨센서스 하회했다(영업이익 컨센서스 669억원). 1) 양극재 부문(매출 비중 70%)의 경우, 메탈 가격 하락으로 인해 양극재 시장 판매 가격이 QoQ -10% 이상 하락했으나, 니켈 비중 80% 이 상 하이엔드 제품 매출 비중이 40%까지 상승(QoQ +9%p)함에 따른 Mix 개선으로, Blended ASP QoQ 하락률은 -5% 수준에서 방어된 것으로 추정된다. 물량의 경우, 북미향 하이니켈 제품 출하 본격화됐으나, 유럽 전기차 수요 둔화에 따른 유럽향 출하 부진으로 물 량 증가율은 당초 기대보다 적은 QoQ +20%대 머문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부문 매 출은 YoY +39%, QoQ +15% 증가했다. 양극재 부문 영업이익률은 북미향 하이니켈 제품 초기 생산 과정에서의 비용 증가로, QoQ -1.7%p 하락한 3.0%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2) 음극재 부문(매출 비중 4%)의 경우, 천연 흑연 부문은 BEP 수준 유지됐으나, 인조 흑연 부 문 초기 생산 과정에서 비용 증가로 전체 부문 수익성은 소폭 적자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 다. 부문 매출은 YoY -24%, QoQ -8% 감소했다. 3) 철강 기초 소재 부문(매출 비중 26%) 매출은 YoY -1%, QoQ -5% 로 큰 변화 없었다. 한편, 전사 수익성은 양/음극재 신제품 생 산 과정에서의 비용 증가 영향으로 영업이익률 2.9%(QoQ -1.5%p) 기록했다.

 

2023.10.25 일간 종목

bulkuploading...

728x90

'주식 > 일간 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10.31 일간 종목  (1) 2023.10.31
2023.10.27 일간 종목  (0) 2023.10.27
2023.10.24 일간 종목  (0) 2023.10.25
2023.10.23 일간 종목  (1) 2023.10.23
2023.10.20 일간 종목  (0) 2023.10.20